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L2 Network
- docker container
- docker 기본
- docker run
- NPX
- 스포틀러
- docker image build
- mdn
- security-level
- http proxy
- Dockerfile
- docker volumes
- docker nginx
- DNS #네트워크 기초 #ISP
- create-react-app
- running-config
- OpenSSL
- Squid Proxy
- TroubleShooting
- HTTPS Proxy
- ASAv
- LG gram
- Hello 지문
- react
- GigabitEthernet
- https
- ssl
- docker
- 실내 유산소
- error
- Today
- Total
목록네트워크 (4)
최끼리 스토리

DNS(Domain Name System) 서버는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주소체계인 IP 주소와 도메인 이름 간의 매핑을 담당하는 서버이다. 이는 사람이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주소체계인 IP 주소들을 일일이 기억할 수 없으니, 사람이 보기 쉬운 www.example.com과 같은 도메인으로 매핑하여 보고, 기억하기 쉽게 만든 구조이다. 하지만 반대로 위와 같은 도메인 이름은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가 아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www.example.com과 같은 도메인 이름을 입력하면, DNS 서버가 해당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여 해당 웹사이트로 연결하게 도와준다. DNS 서버는 전 세계적으로 수많은 서버들이 분산되어 운영되고 있는데 이는 전 세계적으로 대량의 DNS 요청을 처리하기 위함이다. ..

SSL/TLS (Secure Socket Layer/Transport Layer Security)는 인터넷 상에서 정보를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이는 데이터의 기밀성, 무결성, 인증성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되며, 현재는 SSL의 보안 취약점을 보완한 TLS만 사용하고 있다. 주로 HTTP, FTP, TELNET 등과 같은 프로토콜에 결합하여 HTTPS, SFTP, SSH 등과 같은 보안 프로토콜로 사용하고 있다. SSL/TLS의 동작원리는 다음과 같다. 1~3) 3-HandShake 과정을 통해 연결지향성 통신 수행 4) TLS 연결 요청과 동시에 Client에서 사용 가능한 암호 알고리즘 리스트 전송 5) TLS 연결 응답과 동시에 보안 인증서 및 키 전송 6) Client에서 인증서와 키..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란? - 네트워크 상에서 IP주소를 MAC주소로 변환해주는 프로토콜 - ARP는 로컬 네트워크(LAN, Local Area Network)에서만 동작하며, 이를 통해 네트워크 상의 모든 컴퓨터가 서로 통신할 수 있음 ARP 동작 방식 1. 송신 컴퓨터는 로컬 네트워크 내에 목적지 IP 주소를 가진 컴퓨터를 찾기 위해 ARP 요청 전파 2. 해당 패킷은 로컬 네트워크 내에 있는 모든 컴퓨터에 전송(Broadcast) 3. 목적지 IP 주소를 가진 컴퓨터는 ARP 요청을 수신하고, 자신의 MAC 주소를 포함하여 응답 4. 송신 컴퓨터는 응답을 수신하고, 목적지 MAC 주소를 확인 5. 해당 MAC 주소를 ARP 캐쉬 테이블에 저장(CMD: arp -a..

오늘은 Cisco사의 대표 Firewall인 ASA(Adaptive Security Appliance)에 대한 간단한 사용법 및 기본 설정 방법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우선, 내가 사용하고 있는 환경은 아래와 같으니 참고하기 바란다. - HW: VM 기반 - Software: Cisco Adaptive Security Appliance 9.16 - SSP OS Version: 2.10 - Device Manager Version: 7.18 Console을 통해 처음 접속하면 아래와 같이 기본 모드로 접속하게 되며, '?' 입력을 통해 현재 사용 가능한 커맨드를 볼 수 있다.(굉장히 유용함) 우선, 우리는 다양한 네트워크 설정을 위해 privilege mode로 전환해 보자. -> 'enable' 입력 ..